728x90
728x90
이번 시간은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다루는 11장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정보처리기사 공부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그러다 보니 혹시 제가 잘못 작성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OS (운영체제) | 사용자가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
OS의 특징 | 편인스자제 1. 사용자 편리성 제공 2. 인터페이스 기능 제공 3. 스케줄링 담당 : 자원 분배 4. 자원 관리 : CPU, 메모리 관리 5. 제어 기능 : 입출력 장치 등 |
OS의 쉘 | 사용자 명령에 대한 처리를 담당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기계어 형태로 변환해 커널에 전달) |
OS의 커널 | 하드웨어와 관련된 핵심 처리 기능 담당 |
Windows의 특징 | 지선자오 1. GUI 제공 2. 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제공 :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자원 사용을 제어 3. 자동 감지 기능 제공 : HW 설치 시 환경 구성 4. OLE 기능 제공 : 문서에 개체 삽입/연결 |
Unix의 특징 | 대다사이계 1. 대화식 운영체제 기능 : 명령어 입력 시 해당 명령어 수행 2. 다중 작업 기능 3. 다중 사용자 기능 4. 이식성 제공 5. 계층 트리 구조 파일 시스템 기능 제공 |
Linux | Unix 기반의 오픈 소스 운영 체제 |
Android | Linux 기반의 휴대용 장치를 위한 운영체제 |
Mac OS | Unix 기반의 GUI 운영 체제 |
Windows 기본 명령어 | ATTRIB : 파일 속성 표시 CALL : 일괄 프로그램에서 다른 일괄 프로그램 호출 CD : 디렉토리 표시 CHKDSK : 디스크 검사 CLS : 화면 지움 CMD : 명령 프롬프트 실행 COMP : 두 개 이상 파일 비교 DISKPART : 파티션 구성 표시 ECHO : 메시지 표시 ERASE : 파일 삭제 EXIT : 인터프리터 종료 |
Unix/Linux 기본 명령어 | uname -a: 모든 시스템 정보 표시 uname -r: OS 배포버전 표시 cat : 파일 내용 출력 uptime : 가동시간 확인 id : 사용자 로그인명, id 확인 last : 모든 로그인/로그아웃 정보 확인 (wtmp(x) 파일) who : 현재 접속한 사용자 정보 확인 (utmp(x) 파일) ls : 현재 경로의 파일 및 폴더 출력 pwd : 현재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출력 (print working direcotry) cd : 디렉토리 이동 rm : 파일 삭제 cp : 파일 복제 mv : 파일 이동 rsync : 복사 후 동기화 chmod : 퍼미션 변경 chown : 소유자, 소유그룹 변경 tar : 압축 해제 gzip : 압축 find : 파일 검색 grep : 문자열 검색 df : 남은 디스크 용량 확인 (disk free) du : 파일 사이즈 확인 (disk usage) ps : 프로세스 목록 확인 pmap : 프로세스ID 기준 메모리맵 정보 표시 kill : 프로세스 종료 fork : 프로세스 생성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host : host는 아는데 IP 주소 모를 때 사용 |
접근제어 | user / group / other / all 유그아올 r (4) / w (2) / x (1) ex. chmod o-w test.txt = other 사용자의 쓰기 권한 제거 chmod 664 test.txt = user, group의 rx 권한 설정, other의 r권한 설정 |
메모리 관리 | 필요할 때마다 프로세스에게 기억장치를 할당하고, 사용이 끝나면 회수하는 것 |
메모리 관리 기법 | 반배할교 1. 반입 기법 - "언제" 요예 2. 배치 기법 - "어디에" 초적악 3. 할당 기법 - "어떻게" 연단다분페세 4. 교체 기법 - "누구를" 피포/엘루/엘푸/옵트/누르/스크르 |
반입 기법 | 주기억장치에 다음 프로세스를 언제 할당할 것인지 결정하는 기법 요예 1) 요구 반입 : 요구가 있을 시 반입 2) 예상 반입 : 예측하여 반입 |
배치 기법 | 주기억장치의 어떤 위치에 프로세스를 할당할 것인지 결정하는 기법 1) 최초 배치 : 첫 번째 분할에 배치 2) 최적 배치 : 비슷한 공간에 배치 3) 최악 배치 : 가장 큰 공간에 배치 |
할당 기법 | 주기억장치에 어떤 방법으로 프로세스를 할당할 것인지 결정하는 기법 연단다분페세 1) 연속 할당 : 연속해서 배치 ex. 단일 분할, 다중 분할 2) 분산 할당 : 프로세스를 조각내어 배치 ex. 페이징(같은 크기로), 세그멘테이션(가변적 크기로) |
교체 기법 |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세스 중 어떤 것을 제거할지 결정하는 기법 피포/엘루/엘푸/옵트/누르/스크르 1. FIFO :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 교체 2. LRU :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 교체 3. LFU : 참조 횟수가 적은 페이지 교체 4. OPT : 앞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적은 페이지 교체 5. NUR : 최근까지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 교체 (LRU 오버헤드 감소) 6. SCR : 세컨드 찬스! 가장 먼저 들어왔지만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를 막음 (FIFO 보완) |
메모리 단편화 | 메모리 할당/반납 과정에서 낭비되는 공간이 생기는 것 내슬외버공통압 1. 내부 단편화 (적재하고 남는 공간 발생; 페이징) ⇒ Slab Allocator, 통합, 압축 2. 외부 단편화 (작아서 못쓰는 공간 발생; 세그멘테이션) ⇒ 버디 메모리 할당, 통합, 압축 |
프로세스 상태 | [이미지] 생준실대완 1. 생성 (fork) 2. 준비 (Ready List에서 할당을 대기) 3. 실행 4. 대기 (입출력 발생) 5. 완료 |
프로세스 | CPU에 의해 관리되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Job, Task) |
프로세스 상태 전이 | 디타블웨 1. 디스패치 : Ready List에서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CPU 할당 (준비 ⇒ 실행) 2. 타이머 런 아웃 : 할당 시간 초과, PCB에 저장 후 준비 상태로 전이 (실행 ⇒ 준비) 3. 블록 : 입출력 발생 (실행 ⇒ 대기) 4. 웨이크업 : 입출력 종료 (대기 ⇒ 준비) |
PCB | =Process Control Block. OS가 프로세스를 관리를 위해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 구조 |
프로세스 스케줄링 | CPU를 사용하려는 프로세스 간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작업 반종도 대반서 * 반환시간(응답시간) = 종료 시간 - 도착 시간 * 대기시간 = 반환시간 - 서비스 시간 0부터 시작 |
비선점형 스케줄링 | CPU 할당받으면 반환 시까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 불가 우기흔FJ |
우선순위 | 프로세스별 우선순위에 따라 CPU 할당 |
기한부 | 정해진 시간 내 프로세스가 완료되도록 계획 |
HRN | 응답률이 높은 프로세스를 선택해 할당 |
FIFO | 대기 큐에 먼저 도착한 순서에 따라 선택 |
SJF | Shortest Job First. 대기 큐 중 수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할당 |
응답률 계산식 | (대기시간+서비스시간)/서비스시간 = 응답률 응답률이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SJF의 기아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HRN 기법에서 사용) |
선점형 스케줄링 |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오면 기존 프로세스를 중단하고 CPU를 점유 알알다다 |
RR (라운드 로빈) | 시간 할당량을 정해놓고, 시간 내 처리되지 못할 경우 대기 큐 가장 뒤로 보냄 |
SRT | =Shortest Remaining Time First. 대기 큐에 수행(남은)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가 생기면 언제라도 선점 |
다단계 큐 | 여러 개의 큐를 이용해 각각 독립적인 스케줄링을 가짐 |
다단계 피드백 큐 | 여러 개의 큐에 프로세스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 할당량을 부여. (FIFO+RR) ⇒ 우선 도착한 프로세스를 실행하되, 완료가 안 된 프로세스는 하위 큐로 보내고 마지막 큐에서도 안 끝나면 RR 방식 |
가상화 | 물리적인 리소스를 하나로 보이게 하거나, 하나의 물리적인 리소스를 여러 개처럼 보이게 하는 기술 - 가상화의 종류 : 플랫폼 가상화, 리소스 가상화 |
플랫폼 가상화 | ✔️ 하드웨어 플랫폼 위에서 실행되는 호스트 프로그램이 게스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독립된 환경을 구축한 것처럼 보여주는 기술 |
리소스 가상화 | ✔️ 소프트웨어가 독립된 하드웨어에서 실행된 것처럼 보여주는 기술 |
컴퓨팅 가상화 | 컴퓨터 리소스를 가상화하여 논리적 단위로 활용 ex. 하이퍼바이저 |
스토리지 가상화 | 스토리지와 서버 사이에 계층을 추가해 논리적 단위로 활용 ex. 분산 파일 시스템 |
I/O 가상화 | I/O와 서버 사이에 계층을 추가해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ex. VNIC(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컨테이너 |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들이 단일 운영체재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 ex. 도커 |
분산 처리 기술 | ✔️ 여러 대의 컴퓨터의 계산 능력을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 |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 물리적으로 떨어진 장비들을 연결하는 기술 ex. SDN, NFV |
SDN | =Software Defined Network 컨트롤 플레인(트래픽 경로 지정) / 데이터 플레인(트래픽 전송)으로 분리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술 |
NFV |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라우터, 로드밸런서 등 하드웨어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상화하는 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 | 자신의 컴퓨터가 아닌 클라우드에 연결된 컴퓨터로 처리하는 기술 분류 : 사공하 유형 : 인플소(IPS) |
사설 클라우드 | 조직 내부의 컴퓨팅 자원을 이용해 내부적으로 구축한 클라우드. 보안성 높고, 직접 제어 가능 |
공용 클라우드 | 제공 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확장성 높음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사설+공용 클라우드 동시 사용 |
IaaS | 인프라형 서비스. 서버, 스토리지 같은 자원을 클라우드로 제공 |
PaaS | 플랫폼형 서비스. 인프라를 관리하는 복잡함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을 클라우드로 제공 |
SaaS | 소프트웨어형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와 관련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제공 |
네트워크 |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인프라 1. LAN : 근거리 네트워크 2. WAN : 광대역 네트워크 |
프로토콜 | 서로 다른 시스템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규약 |
프로토콜의 기본 3요소 | 구의타 1. 구문 Syntax : 정보 전송을 위한 데이터 형식 2. 의미 Semantic : 정보 전송을 위한 제어 정보 3. 타이밍 Timing : 정보 전송을 위한 순서와 속도 조절 |
네트워크 프로토콜 | 컴퓨터(통신 장비) 간 메시지 교환을 위한 규약 - 단편화 : 전송이 가능한 단위로 나누는 기법 - 재조립 : 단편화된 조각을 복원하는 기법 - 캡슐화 :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정보를 추가해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기법 (송신측) - 동기화 : 송신-수신 시점 맞추는 기법 |
OSI 7계층 | 네트워크 충돌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ISO(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시한 통신 규약 [이미지] 계층 : 아파서티내다피 단위 : 비프페세데 |
물리 계층 (Physical) |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통신 ① 단위: 비트 ② 프로토콜: RS-232C ③ 장비: 허브, 리피터 |
허브 |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보내는 장비 |
리피터 |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키는 장비 |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 노드 간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회선 제어 ① 단위: 프레임 ② 장비: 투브앤스 L2 스위치, 브릿지, NIC, 스위칭 허브 ③ 프로토콜: HPFA HDLC, PPP, Frame Relay, ATM |
L2 스위치 | 목적지 MAC 주소를 기반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비 스포 컷스 프프 1. Store and Forwarding : 데이터를 전부 받은 후 처리 2. Cut Through :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전송 3. Fragment Frame : 앞 64비트만 읽어 에러 처리 후 전송 |
브릿지 | LAN과 LAN을 연결하는 장비 |
NI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외부 네트워크와 빠른 통신을 위해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비 |
스위칭 허브 | 스위치 기능을 가진 허브 |
HDLC | 점대점, 다중점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 |
PPP | 통신 노드 간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
Frame Relay | 프레임 간 중계기능, 다중화 기능을 통해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고속 전송 기술 |
ATM | 고정 크기 단위로 전송하는 비동기식 전송 기술 |
네트워크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의 경로를 설정 ① 단위: 패킷 ② 장비: 스라게공망 L3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 인터넷 공유기, 망(백본) 스위칭 허브 ③ 프로토콜: 아라아라씨지 IP, 라우팅 프로토콜, ARP, RARP, ICMP, IGMP |
L3 스위치 | 3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 (L2 스위치 기능 + L3 라우터 기능을 모두 갖춘 장비) |
라우터 |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고 경로에 따라 전송시키는 장비 |
게이트웨이 | 다른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 |
인터넷 공유기 | 하나의 인터렛 라인을 여러 컴퓨터가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장비 |
망(백본) 스위칭 허브 | 광역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스위칭 허브 |
IP | 패킷 단위의 네트워크 통신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 |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프로토콜 립 오스프 비집 |
ARP | IP주소(3계층)을 MAC주소(2계층)으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
RARP | MAC 주소는 알지만 IP 주소는 모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
ICMP | IP 패킷 처리 시의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 |
IGMP | 멀티캐스트 실시간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화상회의 등) |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서 Network와 Host를 구분하는 것 |
IPv4 | 32Bit (=4Byte) 주소 체계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8비트 * 4부분 = 32)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전송방식 멀유브 |
IPv4 구성 | 찌릿삼구오 (127, 191, 223, 239, 255) - D클래스 : 멀티캐스트 용도 - E클래스 : 연구용 |
IPv6 | 128 Bit (=16Byte) 주소 체계를 갖는 인터넷 프로토콜 (16비트 * 8부분 = 128) 멀티캐스트,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전송방식 멀유애 |
IPv6의 특징 | 확인실패 플플이단헤 1. IP주소 확장 2. 인증 및 보안 기능 3. 실시간 패킷 추적 가능 4. Plug & Play 지원 (실시간 멀티미디어 처리) 5. 이식성 (물리적 위치의 제한 X) 6. 단순 헤더 |
IPv4 → IPv6 전환 방법 | 듀터주 1. 듀얼 스택 2. 터널링 3. 주소변환 : 게이트웨이(주소변환기)로 패킷 변환 |
듀얼 스택 | IP 계층에 IPv4, IPv6 프로토콜을 모두 탑재하여 전송 상대에 따라 선택 |
터널링 | 인접한 IPv4 망에 터널을 만들고 캡슐화하여 전송 |
멀티캐스트 | 같은 데이터를 여러 명의 그룹 수신자들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프로토콜 |
유니캐스트 | 식별된 고유 주소의 목적지에 1: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브로드캐스트 | 같은 서브 네트워크의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애니캐스트 | 잠재적인 수신자 그룹 안에서 가장 가까운 노드에게 연결해 전송하는 프로토콜 |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 | 립 오스프 비집 1. RIP 2. OSPF 3. BGP |
RIP | - 동적&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 벨만-포드 알고리즘 사용 (거리-벡터 알고리즘 기초) 벨포거백 - 홉 카운트 15 - UDP 포트 520 사용 - 30초마다 정보 공유 |
OSPF | - 동적&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사용 (링크-상태 알고리즘 기초) 다익링상 - 홉카운트 무제한 - RIP의 단점 개선 - AS(자치시스템) 분할 (지역별로 라우팅 관리) |
BGP | - 동적&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 AS간 경로 정보 교환 - 경로-벡터 알고리즘 사용 - ISP 사업자간 주로 사용 |
라우팅 알고리즘 유형 | 거벡링상 1. 거리-벡터 알고리즘 2. 링크-상태 알고리즘 |
거리-벡터 알고리즘 | 인접 라우터와 정보를 교환하여 경로 도출 |
링크-상태 알고리즘 | 링크 상태 정보를 모든 라우터에게 전달해 경로 도출 (범위 넓고 복잡함) |
QoS (Quality of Service) |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해, 데이터 전송 성능을 보장하는 것 |
전송계층 (Transport) | 종단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데이터 전송 ① 단위: 세그먼트 ② 장비: L4 스위치 ③ 프로토콜 : TCP, UDP |
L4 스위치 | OSI 4계층에서 네트워크 단위를 연결하는 장비. TCP/UDP 등 스위칭 수행 |
TCP | |
TCP 특징 | 신연흐혼 1. 신뢰성 보장 : 패킷 손실, 중복이 없도록 보장 (IP 계층 보완) 2. 연결지향적 : 연결 회선을 통해 통신이 이뤄짐 3. 흐름 제어 : 송신-수신 속도 일치시킴 4. 혼잡 제어 :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송신율 제어 |
TCP 헤더 구조 | 소데씨 엑해플윈 체어옵패 1. Source Port Number 2. Destination Port Number 3. Sequence Number : 신뢰성과 흐름 담당 4. Acknowledgement Number : 승인 번호 (수신을 기대하는 다음 번호) 5. HLEN : 헤더 길이 6. Flag Bit : 값 유효 여부 등을 표시하는 플래그 7. Window Size 8. Checksum : 에러 확인 9. Urgent Pointer : 시퀀스 번호로부터의 옵셋 10. Options and Padding |
UDP 특성 | 비비실헤 1. 비신뢰성 : 메시지의 도착을 보장하지 않음 2. 비순서화 : 수신된 메시지 순서 맞추지 않음 3. 실시간 응용 및 멀티캐스팅 가능 4. 단순 헤더 (고정 크기 헤더) |
UDP 헤더 구조 | 소데 랭체다 1. Source Port Number 2. Destination Port Number 3. UDP Length 4. UDP Checksum 5. Data |
세션 계층 (Session) | 송수신간 연결을 제어 ① 단위: 데이터 ② 프로토콜: 알넷스스 RPC, NetBIOS, SSH, SSL/TLS |
RPC | 원격 프로시저 호출. 다른 주소 공간에 있는 프로세스 실행 가능 |
NetBIOS | 응용계층의 애플리케이션에 API 제공 |
SSH | 보안 쉘. 원격 호스트에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 |
SSL/TLS |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보안 프로토콜 (4계층(응용) - 7계층(전송) 사이에서 안전한 데이터 전송 보장) |
표현 계층 (Presentation) |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통신에 알맞은 형태로 만들거나, 하위 계층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계층 ① 단위: 데이터 ② 프로토콜: JPEG, MPEG |
JPEG | 이미지를 위한 표준 규격 |
MPEG | 멀티미디어를 위한 표준 규격 |
응용 계층 (Application) | 사용자가 OSI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서비스(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계층 ① 단위: 데이터 ② 프로토콜: 헷프엣프 에셈팝아맵 텔넷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
HTTP |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텍스트 기반의 프로토콜 |
FTP | 서버-클라이언트 간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
SMTP | 이메일을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 |
IMAP | 이메일을 가져오기 위한 프로토콜 (⇒ 메일 서버에서 불러옴) |
POP3 | 이메일을 가져오기 위한 프로토콜 (⇒ 로컬 PC에 저장 후 불러옴) |
Telent |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하는 응용계층의 프로토콜 |
패킷 스위칭 |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전송하는 동안만 자원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1. X.25 : 고정된 대역폭 사용, 낮은 성능 2. 프레임 릴레이 : 유연한 대역폭 사용, 가격 저렴 3. ATM : 광대역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기법 |
서킷 스위칭 | 서킷이라는 특정 연결을 만들어 독점적으로 사용해 통신하는 방식 (전송 보장) |
패킷 스위칭 vs. 서킷 스위칭 | 패킷 스위칭 : 헤더의 주소 정보에 따라 전송 (이메일 등에 적합) 서킷 스위칭 : 데이터 일부를 송수신 해 경로를 파악 후 전송 (영상 등에 적합) |
리눅스 계열 OS | 데비안 계열 : Debian GNU, Linux(개발자 최적화), Ubuntu(가장 광범위) 레드헷 계열: Fedora(스마트 설정과 업데이트), CentOS(프로그래밍 최적화) |
프로그래밍 언어별 특징 | 객체지향 언어: JAVA, C#, VB.NET, ABAP 순차적 언어: C++, PHP, Python, Perl, COBOL 정적 언어: JAVA, C#, VB.NET, ABAP, C++, COBOL 동적 언어: PHP, Python, Perl, SQL |
개발 지원 도구 | 1. 요구사항 관리: JFeature 2. 설계: DBdesigner 3. 구현: Eclipse, CodeBlock 4. 테스트: JUnit 5. 빌드: Ant, Jenkins 6. 형상관리: SubVersion 7. 품질관리: jDepend, Mylyn 8. 이슈관리: Mentis, Git 9. 프로젝트 관리: Redmine, OpenProj |
개발 인프라 구축 방식 | 온클하 1. 온프레미스 방식: 외부 인터넷망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트라넷망만을 활용해 개발 환경 구축 2. 클라우드 방식: 서비스를 임대하여 개발환경 구축 3. 하이브리드 방식 |
클라우드 기반 개발환경 인프라 | 1) 컴퓨팅 환경 :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하드웨어 세팅 2) 스토리지 : 대규모 데이터 저장을 장치 세팅 3) 데이터베이스 : 실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세팅,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위한 세팅 4) 네트워킹 전송 : 서비스, 프로그램, 콘텐츠 전달을 위한 환경 세팅 5) 개발자 도구 : 개발을 위한 환경 구축 6) 보안 환경 구축 : 시스템과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액세스, 암호화 관리 등 7) 응용 기술 세팅 : AR, VR, 머신러닝, 딥러닝 등 8) 생산성 향상 : 볼륨 자동 확장 환경, 스트리밍 서비스 환경 등 구축 |
728x90
300x250
'개인공부 >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실기] 12.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0) | 2024.05.05 |
---|---|
[정보처리기사 실기] 10.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1) | 2024.05.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9.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구축 (1) | 2024.05.04 |
[정보처리기사 실기] 8. 서버 프로그램 구현 (1) | 2024.05.03 |
[정보처리기사 실기] 7. SQL 응용 (4)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