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정보처리기사 실기] 3. 데이터 입출력 구현
이번 시간은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다루는 3장 데이터 입출력 구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정보처리기사 공부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그러다 보니 혹시 제가 잘못 작성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데이터 모델현실 세계의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한 모델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연구제 ① 연산 ② 구조 ③ 제약조건데이터 모델의 절차개논물 개념적 → 논리적 → 물리적개념적 데이터 모델- 현실 세계의 정보를 추상적, 개념적으로 표현 - DB 종류에 무관 - 주요 산출물 : E-R 다이어그램논리적 데이터 모델-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매핑 - 목표 DBMS 설정, 스키마 설계 - 정규화 수행 - 모델링 종류: 관계네 ① 관계 데이터 모델 ② ..
2024.05.01
no image
[정보처리기사 실기] 2. 화면 설계
이번 시간은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다루는 2장 화면 설계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정보처리기사 공부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그러다 보니 혹시 제가 잘못 작성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UI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매개체UI 유형CGNO1. CLI : 텍스트(명령어) 기반2. GUI : 그래픽 기반 (마우스, 펜)3. NUI : 신체 부위 이용 (터치, 음성)4. OUI : 유기적 상호작용 기반 인터페이스 (모든 사물이 입출력장치로 변화)UI 설계 원칙직유학유1. 직관성 :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쉽게 사용!2. 유효성: 사용자 목표가 달성될 수 있어야 함!3. 학습성: 쉽게 배울 수 있다!4. 유연성: 인터렉션을 최대한 포용UI 설계 지침사일단..
2024.04.30
no image
[정보처리기사 실기] 1. 요구사항 확인
이번 시간은 정보처리기사 실기에서 다루는 1장 요구사항 확인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 이 글은 정보처리기사 공부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그러다 보니 혹시 제가 잘못 작성한 부분이 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DLC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시스템의 요구분석 ~ 유지보수까지 전 과정을 모델링한 것SDLC 모델 프로세스요설구태유 1. 요구사항 분석 :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제약조건∙목표 등을 정의 2. 설계 : 수행 방법을 논리적으로 결정 ex. 시스템 구조 설계,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3. 구현 :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실제로 코드를 작성 ex. 인터페이스 개발, 자료 구조 개발, 오류 처리 4. 테스트 ex.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시스템 테스트,..
2024.04.30
[필기]1.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2)
2. 요구사항 확인 가. 요구분석(Requirements Analysis) 기법 (1) 개념 - 사용자의 요구를 추출하여 목표를 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지 결정하는 단계 (2) 특징 - 소프트웨어 개발의 실제적인 첫 단계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해 이해하는 단계 - 분석 결과의 문서화를 통해 향후 유지보수에 유용하게 활용 - 소단위 명세서가 활용 - 개발 비용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단계는 아님 - 도메인 분석은 요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배경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모델링 (3) 요구사항 분석 단계 절차 1. 요구사항 분류 2. 개념 모델링 생성 및 분석 3. 요구사항 할당 4. 요구사항 협상 5. 정형 분석 (4) 요구사항 분석 기술 - 청취기술, 인터뷰와 질문 기술, 분석 기술, 중재 기술, ..
2024.01.24
[필기]1. 소프트웨어 설계 - 요구사항 확인(1)
1. 현행 시스템 분석 가. 플랫폼 기능 분석 (1) 플랫폼의 개념 -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의 환경 - 동일 플랫폼 내에서는 상호 호환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결합체 (2) 플랫폼의 유형 - 싱글 사이드 플랫폼 : 제휴관계를 통해 소비자와 공급자를 연결하는 형태 - 투 사이드 플랫폼 : 두 그룹을 중개하고 모두에게 개방하는 형태 - 멀티 사이드 플랫폼 : 다양한 이해관계 그룹을 연결하여 중계하는 형태 (3) 플랫폼의 기능 -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비용이 감소, 생산성이 향상 - 동일 플랫폼의 커뮤니티 형성, 네트워크 효과 유발 (4) 플랫폼 기능 분석 절차 1. 현행 플랫폼 자료 수집 - 2. 수집자료 분석 - 3. 결과 산출물 작성 나. 플랫폼 성능 특성 분석 (1) 플랫..
2024.01.23
no image
도메인 주소 구매사이트 추천(가격비교)
저는 이번에 개발공부를 하면서 개발자로 일을 하기 위해서는 저만의 도메인이 하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을 했어요! 물론 아직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많이 공부해야할 부분과 제 능력을 쌓아야할 부분이 많기는 하지만 여러가지를 해보면서 지속적으로 흥미를 잃지 않기 위해서 이번 시간에는 도메인 주소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도메인 주소를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가 생각보다 많더라구요! 그 중에서 제 생각이지만 대표적인 4가지 사이트를 알려드리면서 제가 원하는 도메인을 가지고 가격비교를 해보려고 해요! 제가 이번에 구매하려고 하는 도메인 주소는 www.developerjini.com 또는 www.developerjini.co.kr 입니다. 1. 가비아 가장 대표적인 도메인 주소 사이트죠!! 가비아!! 아..
2023.01.26
[TIL]깃과 깃허브 입문(1)
* 이 글은 제가 공부하기 위해 최대한 사실에 입각해 내용을 적으려고 하지만 일부 내용들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혹시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너그럽게 이해해주시고 피드백 부탁드려요! 깃(git / 지옥의 관리자 역할) 1. 버전 관리하기(Version control) -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언제 수정했는지,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등 구체적으로 기록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 2. 백업하기(Backup) - 원격 저장소, 온라인 저장소, 가장 많이 쓰이는 곳이 깃허브(GitHub) 3. 협업(Collaboration) - 깃허브와 같이 온라인 서비스를 사용하면 여러 사람이 함께 일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이 생깁니다. 깃 프로그램의 종류 1. 깃허브 데스크톱(GitHub Desktop) 2. 토터스깃(..
2022.12.13
300x250